얼마전 미국에서 탈모 치료약 관련 신약 개발 소식이 전해져서 많은 화제가 되었다. 그 효과가 엄청났기 때문이다.
해당 정보의 진실은 무엇인지 한번 자세히 알아보겠다.
- 탈모 신약
- 진짜일까?
탈모 신약

얼마전 뉴욕 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제약회사 ‘콘서트 파마슈티컬스(Concert Pharmaceuticals)’는 먹는 탈모치료제 신약 ‘CTP-543’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6개월간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지역에서 18~65세 사이의 심각한 원형 탈모 환자 706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연구 시작 당시 머리카락의 16%만 남아 있던 참가자들은 위약 복용 그룹, 8㎎ 알약 1일 2회 투여 그룹, 12㎎ 알약 1일 2회 투여 등 총 3그룹으로 나눠 복용을 시작했다.
결과는 시험 결과 위약 복용 그룹을 제외한 알약 투여 두 그룹 모두 머리카락이 다시 자랐다. 12㎎의 높은 용량을 복용한 그룹의 41.5%는 모발 재생률 80%를 달성했다. 8㎎의 낮은 용량을 투여한 그룹의 30%도 모발 80% 재생에 성공했다.

임상 시험에 참가한 한 피시험자의 모발 사진이 공개되자, 놀라움과 동시에 사진의 진위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연구팀은 부작용을 호소하는 환자는 5% 미만에 그쳤으며 두통, 여드름 등 가벼운 증상만 보였다고 주장했다.
콘서트 파마슈티컬스는 517명의 탈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 시험을 진행할 방침이다. 결과 발표 후 내년에는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신청한다.
진짜일까?
미국에서 탈모 신약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나왔지만 대다수 탈모인들이 앓고 있는 ‘남성형 탈모’ 치료제가 아니라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로 여겨지는 ‘원형 탈모’ 치료제인 것으로 확인됐다.
콘서트 파마슈티컬스가 개발 중인 CTP-543은 면역 반응 중에 활성화되는 효소인 JAK1과 JAK2를 억제하면서 탈모를 치료하는 방식이다.
원형 탈모는 이미 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등으로 치료되고 있는 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인 원형탈모는 한두 군데 생겼다가 저절로 회복되고 재발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지속적으로 재발하거나 더 심하게 진행되기도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 두창 발진 단계별 진행 상태 (0) | 2022.06.08 |
---|---|
알보칠 원리는 무엇일까? 왜 이렇게 아픈가? 빨리 나을까? (0) | 2022.06.02 |
배우 이얼, 식도암 투병 끝 별세, 식도암 증상은? (0) | 2022.05.26 |
비염 증상, 만성 비염과 식염수 코세척 방법 (0) | 2022.05.25 |
조현병 환자 어린아이 묻지마 폭행, 조현병이란? (0) | 2022.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