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개방성 이관증 아이유 청력 회복 가능할까?

by 책임건강연구원 2022. 9. 20.

아이유는 "사실 오늘 공연은 솔직히 조금 어려웠다"면서 "보통 첫 공연이 어렵고 둘째 날은 익숙해지면서 긴장도 풀리는데 사실 제 귀에 약간 문제가 있어 조마조마해 하며 공연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그는 "심각한 건 아니고 청력에도 문제가 없는데 귀를 잘 컨트롤 할 수 없는 상황이 1년 전부터 이어지고 있다"며 "목이야 조금 쉬어도 되니 귀만 멀쩡하면 좋겠다 생각했는데 다행히 목 상태는 괜찮았다.

 

그런데 어제 공연 말미부터 귀가 안 좋아져서 어젯밤과 오늘 리허설까지 지옥 같은 하루를 보냈다. 첫 곡 하기 전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는 마음으로 올라왔는데 오늘 공연은 여러분이 다 해주신 거다"라고 덧붙였다.

여성

아이유는 지난 3월 발매한 ‘IU 다큐멘터리-조각집: 스물아홉 살의 겨울’에서 콘서트 준비 과정을 소개하며 자신이 '개방성 이관증'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

개방성 이관증은 무엇일까? 치료는 가능한 것일까?

 

개방성 이관증

이관(Eustachian tube)은 뼈, 연골, 주위 근육 및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상적인 이관은 안정 시에 닫혀있고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하는 동작과 발살바조작(Valsalva maneuver) 등을 통해 열리게 된다.

 

이관의 연골부가 평상시에도 비정상적으로 계속 열려 있게 되면 비인강과 중이강 사이를 자유롭게 공기와 소리가 들락거리면서 자가강청(Autophonia), 자신의 호흡음 청취, 이충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이관개방증(Patulous Eustachian tub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원인

이관개방증을 야기하는 되는 이관 주위 조직 결손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알려진 원인은 체중 감소, 만성 질환에 의한 조직 위축 등이 있으나 모든 환자의 2/3에서만 이런 원인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관개방증 환자의 문헌보고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마르고 야윈 체이며 증상이 시작되기 전 체중의 감소가 있었던 경우가 많다.

 

심한 다이어트, 결핵, 악성종양 등과 같은 소모성 질환 또는 신경성 식욕부진 등의 다른 인자들과 함께 나타나며, 이관 주위의 지방조직 특히, 구개범장근 내측에 발달된 Ostmann 지방조직의 위축 또는 소실로 이관 연골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귀

증상

이관개방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자가강청과 이충만감으로 자신의 호흡음이나 목소리가 울려 들리며, 이는 열려 있는 이관을 통해 공기와 소리가 중이강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자가강청은 자신의 목소리나 호흡음이 들리는 것으로 마치 큰 통 속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러한 증상이 하루 종일, 수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생길 경우 환자에 따라서는 우울증 등 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로 발전될 수 있다.

 

공기가 비인강으로부터 중이강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바람소리 같은 호흡음이 계속 들릴 수 있으며, 이충만감처럼 귀가 막힌 듯한 증상, 심한 경우 고막의 내외측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조금 더 쉽게 비유하자면 한쪽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처럼 계속 소리가 들리는 상태라는 것이다.

 

치료

이관개방증 환자들의 증상은 일과성부터 일상생활에 지장이 큰 경우까지 다양하다. 임신 기간 중 발생한 일과성 증상은 출산 후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과도한 다이어트로 갑자기 체중이 감소한 경우는 체중이 회복되면서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이런 일과성 증상이 아닌 경우에는 환자의 사회적 활동에 현저한 장해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1) 비수술적 치료
약물치료로는 이관의 비인강 개구부 점막의 부종을 일으키는 Estrogen 제제를 하루에 3번 비강에 점적할 수 있다. SSKI(Saturated solution of potassium iodide)를 하루에 3번 물에 타서 마시는 방법을 통해 비인강 점액의 점도를 높이는 치료를 해 볼 수 있다.

또한 Atropine의 항콜린 비강분무를 통해 좋은 효과를 보고한 경우도 있고, 국내에서도 항콜린 비강분무제인 Iprapium bromide로 효과 있었다는 보고도 있어 초기 치료로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이관 주변의 Acetylcholine 양성인 신경에 있는 Muscarine 수용체에 대한 Atropine의 분비액 기능 억제효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2) 수술적 치료
고막 절개와 환기관 삽입술, 비인강 이관 개구부 주입술, 비인강 이관 개구부 재건술, 중이강 이관 개구부 카테터 삽입술 및 이관 폐쇄, 구개범장근 전위술 및 익돌구 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있으며 안정이나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오래 지속된다면, 환자와 상의하여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여성

합병증 및 수술 경과

이관개방증 환자들의 증상은 일과성부터 일상생활에 지장이 큰 경우까지 다양하다. 임신 기간 중 발생한 일과성 증상은 출산 후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과도한 다이어트로 갑자기 체중이 감소한 경우는 체중이 회복되면서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이런 일과성 증상이 아닌 경우에는 환자의 사회적 활동에 현저한 장해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111111

댓글